‘에브리타임’ 논란 여전…운영사 대학 책임론 고조

유가족, 모욕 혐의로 악플러 고소

최은경 기자 승인 2020.11.06 07:47 | 최종 수정 2020.11.06 07:50 의견 0
출처 픽사베이
출처 픽사베이

[포스트21 뉴스=최은경 기자] 대학생 온라인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에타)은 2011년 출시된 스마트폰 앱이다. 현재 가입자는 전국 398개 대학 캠퍼스의 입학예정자·재학생·졸업생 등 약 454만 명에 이른 것으로 확인됐다. 

대학생을 위한 시간표와 강의평가 기능이란 목적으로 출발은 좋았다. 이후 대학별 커뮤니티 게시판과 중고거래 등 각종 서비스를 추가해 관심도 높아졌다. 그러나 최근 ‘에타’의 악성 댓글에 시달리던 이용자가 극단적 선택을 한 사건이 불거지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온라인상에서 특정인을 괴롭히는 사이버불링(Cyber Bullying) 피해가 점점 커지며 커뮤니티 내 악플·혐오 표현 등을 막을 수 있는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힘들다’ 글에 ‘조용히 죽어’ 잇단 악플 

청년참여연대 등 25개 청년·인권단체는 이 같은 사건과 관련해 에브리타임과 각 대학의 대책을 촉구했다. 서울 소재 여대생인 A씨는 지난 10월 초 ‘악플을 단 인터넷 이용자들을 처벌해달라’는 유서를 남긴 채 자택에서 숨진 것으로 알려졌다. 

단체 측은 A씨가 생전에 같은 대학 구성원이 익명성에 기대 남긴 악성 댓글과 게시글로 괴로움을 호소해 왔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악성댓글, 사이버불링이 기업의 무책임한 방치와 대학 당국의 외면이 계속되면서 한 사람의 인생을 앗아가 버린 것이라고 주장했다. 

출처 픽사베이
출처 픽사베이

이들은 에타가 철저히 익명으로 운영되고 있는 점과 자유게시판에는 차별적 혐오 게시글이 난무하는 점을 각각 지적했다. 특히 대상이 여성, 성소수자, 장애인, 이주민 등 사회적 약자가 타깃이란 점에서 심각성을 더한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에타 안에서 혐오 표현의 타깃이 되는 피해자들을 보호해줄 만한 제도는 없다는 게 문제다. 에타는 신고 수가 많으면 자동으로 삭제하는 시스템이 있다. 그러나 이는 명목상 시스템으로 신고에 따른 사실관계를 전혀 확인하지 않아 운영사가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이들 시민단체는 대학 역시 사이버불링 피해자들을 보호할 최소한의 대책도 마련하지 않고 있다는 점도 꼬집었다. 학내 인권센터도 아직까지 에타와 같은 온라인 상의 인권침해 사건을 해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지 못하며 설령 사건이 접수된다 해도 운영사 측에서 협조해주지 않아 가해자를 특정할 수 없어 조치를 전혀 취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는 것이다. 

유가족은 호소문을 통해 “익명이라는 미명하에 인간의 탈을 쓰고 악마같은 짓을 하도록 방치한 에타 업체를 고발한다”며 “우리 아이가 에타 악플로 삶의 의욕을 잃어버릴 지경이 되도록 에타는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현재 유족 측은 에타에 악플러들을 모욕 혐의로 고소한 상태다. 경찰은 고소인 조사를 마친 후 IP 추적 등 가능한 방법을 동원해 수사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방통위, 자율규제 강화 권고 

에타 논란이 점차 확산되면서 최근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통위)는 자율 규제를 권고했음에도 일각에선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제재할 방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다만 플랫폼 내부에서 벌어지는 개인 활동 제한을 막기는 어렵다는 의견도 동시에 나온다. 

앞서 대학 페미니스트 공동체 ‘유니브페미’는 올해 4월부터 3개월간 20여 개 대학 에타를 조사한 결과 삭제되지 않은 550개 혐오성 게시물을 발견했고, 이 중 47%가 여성 혐오를 담았다고 7월 공개한 바 있다. 

청년참여연대 또한 321명을 설문한 결과도 발표했는데 응답자의 79.1%(248명)가 게시글을 통해 불쾌했던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에 방심위는 운영사에 대해 자율규제 강화 권고를 내놨다. 

구체적 대책을 마련하라고는 했지만, 강제 사항은 아니기 때문에 바뀔지는 미지수다. 한편 현재 에타는 운영 초반 취지를 잃은 채 누군가 익명 ‘악플’의 표적이 돼 고통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에타의 본래 기능을 되찾아 운영해야 할 시점이 다가왔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포스트21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