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뮤직서커스 다이애나]

뮤직서커스 다이애나 승인 2020.05.28 14:50 | 최종 수정 2020.05.28 14:53 의견 0
칼럼니스트 뮤직서커스 다이애나
칼럼니스트 뮤직서커스 다이애나

금맥을 찾는 것이 쉬울까? 작은 아이디어를 생각해내는 것이 쉬울까?

낭만시대 천재 음악가들은 ‘비루투오조(virtuoso)’라고 칭송받았다. 비루투오조라는 말은 ‘덕(virtus)’이라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말이다. 여기서 여러분이 생각하는 비루토오조는 어떤 모습일지 상상해보자. 높은 자리에서 목에 힘을 주고, 당당하게 자신의 요구를 하는 사람인가? 

아니면 감히 따라할 수 없을 실력으로 사람들의 입을 떡 벌어지게 만드는 사람인가? 여러분이 상상한 이미지를 떠올리며 오늘의 주인공 낭만시대 비루투오조 리스트(Franz Liszt)를 함께 살펴보자. 

그는 연주실력도 실력이지만, 그동안 존재하지 않았던 다양한 실험적 시도들을 성공적으로 이뤄냈다. 예를 들어 그동안 정면배치가 관례였던 피아노를 옆으로 돌려 배치함으로써 청중들이 숨죽여 자신의 연주를 관찰할 수 있도록 유도했다. 

청각을 자극하는 연주뿐 아니라 그의 찰랑거리는 금발머리와 높은 콧대, 날카로운 턱선이 청중들의 시각적 요소까지 자극할 수 있겠다고 판단했던 것이다. 

덕분에 객석에 앉은 수많은 여성 관객들은 리스트의 연주가 시작되기도 전에 이미 그의 날카로우면서도 로맨틱한 얼굴과 피아노 건반을 애무하는 듯한 강한 제스처에 도취된 상태가 되었는데, 이어지는 고난이도 연주로 완벽하게 귀 호강까지 시켜주었으니 청중들의 입이 떡 벌어질 수밖에 없었다. 

비슷한 시기의 쇼팽이 피아노로 낼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소리를 만들어내는 대가였다면 리스트는 인간이 칠 수 있을까 싶은 피아노 기술을 아무렇지 않게 선보이는 실력을 선보였다. 

 그의 공연장은 마치 아이돌 가수들이 화려한 춤기술을 선보이며 호흡의 흐트러짐 하나 없이 라이브 공연을 소화하는 듯한 모습이었다. 당대 최고의 피아니스트였던 리스트는 본인의 화려한 피아노 테크닉을 보여주기 위해 직접 작곡을 하였다. 

리스트는 타고 날 때부터 손이 비정상적으로 크고 가늘었기 때문에 넓은 음역대 음을 동시에 짚으면서도 정교하고 화려한 테크닉이 가능했다. 

기사 이미지 콘텐츠
기사 이미지 콘텐츠

이 천재 피아니스트는 30마디 동안 연속해서 이어지는 양손 옥타브, 6옥타브 거리에서 이뤄지는 화려한 애드립, 세 손으로 연주하는 느낌을 주는 ‘세 손 연주효과’등을 완벽하게 구사하여 청중들에게 경외감을 선사했다. 

또한 낭만시대의 이 완벽한 아이돌 음악가는 팬 서비스에도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청중들이 자신의 연주에 완벽하게 몰입할 수 있도록, 악보를 보고도 치기 힘들다는 작품들을 완벽하게 외워서 연주를 했다. 

지금은 무대 위에 설 때 연주가들의 암보가 당연하게 이뤄지고 있지만 당시 연주회에 모든 곡을 외워서 연주했던 것은 리스트가 최초였다. 

또한 이전에는 공공연주회에서 여러 명의 연주자들이 모여 순서를 정해 연주했다면, 리스트는 음악회 전체를 혼자 끌어가는 독주형태의 ‘리사이틀(Recital)’ 방식으로 독주공연을 했다. 

리스트는 리사이틀 현장에 토크콘서트를 융합하여 청중들과 함께 소통하고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나가면서 아이돌로서의 진가를 발휘했다. 

이 때문에 리사이틀이 끝나면 상류층 귀부인들이 체통을 잊고 무대에 난입하여 그가 피우던 시가 꽁초, 연주 도중 벗어던지던 장갑을 차지하려고 싸우는 기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고 전해진다. 

리스트의 능력은 당대 음악 산업의 상업화에도 큰 기여를 한다. 산업혁명으로 중상층이 증가하면서 아마추어 연주가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고, 악보 출판 사업 역시 성황을 이뤘다. 

작은 변화 통해 달라질 수 있는 것에 집중하자  

리스트의 신기술이 담아 있는 악보들은 소위 말하는 ‘소장용’으로 취급되어 인기상품으로 등극하며 당대 문화인들의 구매욕을 자극했다. 그런데 리스트의 화려한 행보 뒤에는 엄청난 노력이 뒤따랐다는 점에 주목하는 사람들은 그리 많지 않다. 

리스트는 친구인 피에르 올프에게 썼던 편지에서 “나는 하루에 4~5시간 정도를 손가락 연습에 쓰고 있다네”라며 자신의 노력을 고백했는데, 이 뿐 아니라 피아노 뚜껑을 여는 각도, 리사이틀에서 진행할 대본 등을 미리 준비하고 실험하면서 엄청난 노력을 들여 공연을 준비했다고 전해진다. 

기사 이미지 콘텐츠
기사 이미지 콘텐츠

특별해야 살아남을 수 있는 퍼스널 브랜딩(Personal branding) 시대에 리스트의 편지가 우리에게 시사하는 점은, 매일 노력해야 성공할 수 있다는 단순한 논리가 아니다.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그가 본인의 특장점인 ‘손가락 기술’ 연마에 대해 전략적으로 많은 비중의 시간을 투자했다는 점이다. 

영상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뛰어난 아마추어들의 실력이 실시간으로 공유되기 때문에, 이제 남들이 하는 것을 따라하기만 해서는 더 이상 주목받기 힘든 시대가 되었다. 

새로운 개념이라 해서 거창할 것은 없다. 오히려 완전히 새롭게 등장한 개념들은 인정받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기존의 개념에 조금씩만 아이디어를 첨가하거나 여러 아이디어를 융합해서 새로운 효과를 줄 수 있는 ‘작은 변화’가 훨씬 효율적이다. 

리스트가 피아노 배치를 살짝 변형하고, 리사이틀 공연에 토크콘서트 형태를 도입했던 것처럼 말이다. 성공하고 싶다면 한 번 곰곰이 생각해보자. 

내가 익숙함을 느끼는 기존의 개념에서 작은 변화를 통해 달라질 수 있는 것이 무엇이 있는지 말이다. 

19C 미국에서 금맥을 찾아 대박을 내기 위해 사람들이 몰려들었던 골드러시(Gold Rush)가 있었다면, 지금은 작은 아이디어로 대박을 창출할 수 있는 아이디어 러시(Idea Rush) 시대이다. 

금맥을 찾는 것이 쉬울까, 작은 아이디어를 생각해내는 것이 쉬울까? 여러분의 선택에 달렸다.

저작권자 ⓒ 포스트21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